🎯 학습 목표
- 나트륨 원자의 구조와 전자 배치를 이해해요.
- 왜 나트륨이 전자를 1개 버리고 Na⁺ 이온이 되는지 배워요.
- 전자 껍질의 안정된 구조(2, 8, 8)를 알게 돼요.
🔍 나트륨(Na)이란?
- 소금에 들어 있는 아주 익숙한 금속 원소예요.
- 사람의 몸과 신경 전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요.
- 주기율표에서 1족에 속해 있어요.
🧭 나트륨의 발견과 이름
- 금속 형태로는 자연에 거의 없고, 주로 화합물(NaCl)로 존재해요.
- 영어 이름 Sodium은 ‘소다(soda)’에서 유래되었고,
- 원소기호 Na는 라틴어 Natrium에서 왔어요.
📘 나트륨의 기본 정보
항목 | 설명 |
---|---|
원자번호 | 11번이에요. |
원소기호 | Na 라고 써요. |
이름 | 나트륨 (Sodium) |
원자량 | 약 23.0 이에요. |
⚛️ 나트륨 원자의 구조
- 원자번호 11 → 전자도 11개 있어요.
- 전자 껍질 배치: 2, 8, 1
📌 중요한 포인트:
→ 마지막 껍질에 전자 1개만 있으니 불안정해요!
→ 이 전자 하나를 버리면 2번째 껍질(8개)이 마지막이 되면서 안정한 상태가 돼요.
🔄 나트륨이 Na⁺가 되는 이유
✅ 전자 배치: 2, 8, 1
✅ 마지막 껍질(세 번째 껍질)에 전자 1개 → 버림!
✅ 그럼 전자 수는 10개 (양성자 11개 > 전자 10개)
✅ → 양전하 1개가 남아 Na⁺ 이온이 돼요!
✅ 나트륨 이온식: Na⁺
항목 | 설명 |
---|---|
원자 기호 | Na |
잃은 전자 수 | 1개 |
이온식 표기 방법 | Na⁺ |
🧠 Tip: 나트륨은 +1 이온이 되면 **전자 껍질이 안정된 구조(2, 8)**가 돼요.
그래서 일부러 전자 1개를 버리고 **Na⁺**로 변해요!
🎬 관련 영상 보기
나트륨의 성질과 전자 배치, Na⁺ 이온이 되는 과정을 영상으로 복습해보세요.
👉 나트륨 원소 학습 영상 보기 (YouTube)
📎 활동 자료 예고
- [원자 탐험] 시리즈 다음 콘텐츠: Cl⁻, Mg²⁺, N³⁻ 등으로 확장 예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