🎯 학습 목표
- 산소 원자의 구조와 전자 배치를 정확히 이해해요.
- 껍질(에너지 준위)의 안정된 수인 2, 8, 8 법칙을 배워요.
- 산소가 왜 전자 2개를 더 받는지, 그리고 어떻게 O²⁻ 이온이 되는지 알아봐요!
🔍 산소(Oxygen)란?
- 우리가 숨 쉬는 공기 속에 들어 있어요.
- 물(H₂O)의 구성 원소이기도 하고, 불이 탈 때 꼭 필요해요.
- 식물과 동물 모두에게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원소예요.
🧭 산소의 발견과 이름의 뜻
- 1700년대에 프리스틀리와 라부아지에가 산소를 발견했어요.
- “Oxygen”은 그리스어로 **‘산을 만드는 것’**이라는 뜻이에요.
- Oxy = 산 / gen = 생성자
📘 산소의 기본 정보
항목 | 설명 |
---|---|
원자번호 | 8번이에요. 산소는 8번째 원소예요. |
원소기호 | O 라고 써요. |
이름 | 산소 (생명에 꼭 필요한 기체!) |
원자량 | 약 16.00. 수소보다 무거운 원소예요. |
⚛️ 산소 원자의 구조와 전자 배치
- 산소는 양성자 8개, 전자 8개를 가지고 있어요.
- 전자는 껍질(에너지 준위)에 다음과 같이 배치돼요:
• 1번 껍질(K): 2개 (가득 참 ✅)
• 2번 껍질(L): 6개 (8개가 되려면 2개 부족 ❗)
- 전자 껍질은 다음처럼 채워져야 안정해요:
- 1번 껍질: 최대 2개
- 2번 껍질: 최대 8개
- 3번 껍질: 최대 8개 (중등 기준)
→ 산소는 두 번째 껍질을 채우기 위해 전자 2개를 더 받고 싶어 해요.
🔄 산소가 이온이 되는 이유
껍질 | 전자 수 | 설명 |
1번 껍질 (K) | ●● | 가득 찼어요 ✅ |
2번 껍질 (L) | ●●●●●● | 2개 부족해서 불안정 ❗ |
- 전자 2개를 더 받으면 총 전자 수는 10개가 되고,
- 양성자보다 전자가 2개 많아져서 → 음전하 2개 더 많은 O²⁻ 이온이 돼요.
항목 | 설명 |
원자 기호 | O |
얻은 전자 수 | 2개 |
이온식 표기 | O²⁻ 또는 O^(2−) |
🧠 한 줄 요약
산소는 전자 2개를 더 받아서 **안정한 껍질 구조(8개)**를 만들고 싶어 해요.
그래서 O²⁻ 이온이 되는 거예요!